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말씀과 함께하는 시간241

마가복음 5장 21 ~43절 신학적 관점 예수의 통치의 특징 (두 번째 주): 이번 주 본문에는 지난주에 이어 예수의 통치의 본질적 특성(the nature of Jesus’ kingship)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지난주에는 예수가 창조된 질서, 즉 물질적 세계를 지배하는 통치자로 묘사되었다. 오늘의 본문에서 마가복음은 새로운 영역에 대한 예수의 지배권을 소개하면서 마가 특유의 기독론을 전개하고 있다. 예수의 통치의 본질적 특성과 예수의 통치권의 근거, 그리고 추종자들도 공유하는 권위, 즉 예수의 순종적인 믿음이 소개된다. 또한 우리는 그 권위가 예수의 왕국에서 어떻게 행사되는지도 (그의 왕국에서의 우선순위, 왕-백성의 관계 등) 배우게 된다. 예수가 왕이라는 의미가 무엇인가? 두번째 답: 예수는 생명과 율법의 왕이다. 오늘 본문.. 2022. 8. 2.
마가복음 4장 35 ~ 41절 신학적 관점 예수의 통치의 특징 오늘부터 3주 동안의 본문은 예수의 왕권의 본질에 관한 내용이다. 예수는 스스로에 대해 어떤 주장을 하고, 주위 사람들의 견해는 어떠했나? 3주 동안의 본문은 기적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두 “ 예수의 왕권의 특징이 무엇인가?(What is the nature of Jesus’ kingship?)” 라는 동일한 질문에 대해 다양한 답을 준다. 이 이야기들을 통해 마가복음의 저자는 예수의 왕권의 근거가 되는 권위의 원천이 그의 순종적인 믿음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Answer 2: Jesus Is King of Life and Law; Answer 3: Jesus Is King of the Spirit Realm) 예수가 어떻게 왕인가? 답1: 예수는 창조된 질서의 주제.. 2022. 8. 2.
마가복음 4장 26 ~ 34 절 신학적 관점 복음서 다른 부분에서도 자주 그런 것처럼, 오늘 본문에는 평범하고 쉬운 이미지와 매우 난해하고 해석하기 어려운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본문의 첫 번째 의미는 잘 알려진 대로 비유들을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비유로 해석함으로 드러난다. 첫 번째 비유는 하나님의 나라를 농사짓는 일에 비유한다. 농부는 땅에 씨를 심지만 씨가 자라게 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특별히 없다. 오늘 비유에서는 농부가 할 일이 없다는 것을 씨에서 싹이 나고 자라는 동안 그는 밤낮 자고 일어나기만 했다는 식으로 표현한다. 하나님 나라는 잠을 자는 농부와 같다. 혹은 하나님 나라는 씨가 자라는 동안에는 자다가 추수할 때가 되자 깨는 농부와 같다. 우리가 아직도 깨닫지 못할 경우를 감안해 예수는 두 번째 비유를 제시한다. 하.. 2022. 8. 2.
마가복음 1장 4 ~ 11절 신학적 관점 예수의 세례에 관한 마가의 이야기는 앞으로 전개될 예수의 사역과 고난을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맥락을 제공한다. 하나님이 예수를 인정하는 장면을 통해 우리 인간이 을 목격하게 된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비록 이 구절이 나중에 신조의 중요 어휘가 되는 신성이나 인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고 있지만, 신학자들은 이 구절이 성육신 교리의 의미에 중요한 단서를 주는 것으로 이해했다. 예수는 하나님이 인류를 대하시는 방식의 토대가 된다. 세례 요한은 예수를 하나님의 행동의 과거, 현재, 미래의 맥락 속에 위치시킨다. 전형적 설교자/증인으로서 요한은 예수를 과거 이스라엘과 맺은 하나님의 약속과 연결한다. 광야라는 배경 설정은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을 준비시킨 광야 기간을 기억.. 2022. 7. 3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