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말씀과 함께하는 시간241 마가복음 9장 30 ~ 37절 신학적 관점 오늘 본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고유한 주제를 갖고 있지만 공통되게 포함-배제(inclusion – exclusion)와 관련된 질문을 던진다. 30-32절에서는 갈릴리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제자들이 구별되었고, 33-37절에서는 제자들의 모임에 어린아이가 포함되게 되었다. 본문 앞부분에서는 예수의 고난, 죽음, 부활에 관한 예언이 다시 나오는데, 우리는 왜 십자가의 스캔들이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지 질문하게 된다. 30-31절에는 “ 예수께서는 이것을 남들이 알기를 바라지 않으셨다”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우리는 예수가 제자들에게만 가르쳐 준 교훈도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예언이 그렇게 충격적이어서 공동체에 속한 사람에게만 들려준 것인가? 비록 제자들.. 2022. 8. 10. 마가복음 8장 31 ~ 38절 신학적 관점 마가복음서에서 베드로의 신앙고백은 중요한 전환점이다. 예수의 사역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여기까지 정신없이 예수의 사역이 빠른 속도로 소개되었다. 예수 주위에 있던 사람들은 그 목적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예수는 “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하고 물은 것이다. 베드로의 모범적 대답은 그 때까지 예수의 사역을 통해 추정할 수 있는 정답이다. 예수는 어려운 사람을 돕는 자, 지혜로운 교사,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분, 모든 사람을 받아들이는 분으로, 전형적인 구세주의 모습이다. 그런데, 의외로 이런 모범 답안이 예수에 의해 거부되었다. 예수는 사람들에게 버림받고, 극심한 고난을 당하고 죽임을 당할 것이다. 베드로의 반응을 볼 때 그 수정된 메시아상이 얼마나 .. 2022. 8. 2. 마가복음 8장 27 ~ 38절 신학적 관점 오늘의 본문 전체는 스캔들로 가득 차있다. 우선 베드로의 고백이 그렇다. 예수가 메시아라는 그의 고백은 그의 의도와 달리 완전히 뒤집혀졌다. 예수의 고난과 죽음에 관한 예언, 특히 “ 인자가 반드시 많은 고난을 받고... 죽임을” 당해야 한다는 31절의 구절은 수많은 신학자들을 곤경에 빠뜨렸다. 끝으로 “제 목숨을 잃는” 제자도에 관한 가르침은 이 말을 듣고 아직도 예수 곁에 머무르는 사람이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스캔들이라는 말은 고전 1:23에 (거리낌, stumbling block) 등장한 이후로 기독교 복음을 표현하는 단어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20세기에 와서 서구 신학자들에 의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복음은 스캔들인데 그것은 나사렛 예수가 동시에 참된 인간이고 하나님의 .. 2022. 8. 2. 마가복음 7장 24 ~ 37절 신학적 관점 오늘 본문을 전통적으로 (1) 하나님이 모든 인간과 관계를 맺는다는 사실과 (2) 종교적으로 국외자인 두 이방인들의 믿음을 통해 드러나는 예수의 구원의 능력에 중점을 두어 해석해왔다.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점이 강조되었다: (1) 믿음의 능력은 종교적 울타리를 넘어선다. (2) 예수와 가장 가까이 있었던 사람들은 예수가 하나님의 기름 부은 자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하나님과의 계약 밖에서 태어나 이방인인 자들 중 믿음이 있는 사람들은 그것을 이해한다. (3) 예수의 메시아적 사명은 항상 선민을 넘어서 하나님의 구원의 보편적 경륜을 성취하고 하나님의 구원의 무한성을 증거하는 데까지 이른다. 하나님의 나라는 로마제국이 진정 보편적이라는 주장을 초월하고 무효화시킨다는 것이 마가의 정치적 메.. 2022. 8. 2.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6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