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0404

민수기 32장 1.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이 심히 많은 가축 떼를 가졌더라 그들이 야셀 땅과 길르앗 땅을 본즉 그 곳은 목축할 만한 장소인지라 2.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와서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에과 회중 지휘관들에게 말하여 이르되 3. 아다롯과 디본과 야셀과 니므라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스밤과 느보와 브온 4. 곧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회중 앞에서 쳐서 멸하신 땅은 목축할 만한 장소요 당신의 종들에게는 가축이 있나이다 5. 또 이르되 우리가 만일 당신에게 은혜를 입었으면 이 땅을 당신의 종들에게 그들의 소유로 주시고 우리에게 요단 강을 건너지 않게 하소서 6. 모세가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에게 이르되 너희 형제들은 싸우러 가거늘 너희가 여기 앉아 있고자 하느냐 7. 너희가 어찌하여 이스라엘 자손에게 낙심하게 하여.. 2022. 7. 23.
민수기 31장 1.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 이스라엘 자손의 원수를 미디안에게 갚으라 그 후에 네가 네 조상에게로 돌아가리라 3. 모세가 백성에게 말하여 이르되 너와 함께 있는 사람들 가운데서 전쟁에 나갈 사람들을 무장시키고 미디안을 치러 보내어 여호와의 원수를 갚되 4. 이스라엘 모든 지파에게 각 지파에서 천 명씩을 전쟁에 보낼지니라 하매 5. 각 지파에서 천 명씩 이스라엘 백만 명 중에서 만 이천 명을 택하여 무장을 시킨지라 6. 모세가 각 지파에 천 명씩을 보내되 제사장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에게 성소의 기구와 신호 나팔을 들려서 그들과 함께 전쟁에 보내매 7. 그들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미디안을 쳐서 남자를 다 죽였고 8. 그 죽인 자 외이 미디안의 다섯 왕을 죽였으니 미디안의.. 2022. 7. 23.
마태복음 25장 31 ~ 46절 신학적 관점 텍스트에 충실함과 신학적 예리함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그러나 오늘의 본문처럼 텍스트의 해석이 신학적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32절의 "모든 민족"(panta ta ethneμ)이라는 문구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본문의 신학적 의미는 매우 달라진다. 우리가 이 헬라어 구절을 보편적인 의미로, 즉, 모든 지역과 시대에 속한 민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렇게 본문을 읽는다면 구원을 위한 조건(먹을 것을 주고 영접하고 방문하는 것 등)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 그런 해석에는 매우 심오한 신학적 의미가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는 은혜로 혹은 복음을 받아들임으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구원받는다. 우리는 행위에 의해 .. 2022. 7. 23.
마태복음 25장 14 ~ 30절 신학적 관점 전통적으로 마태복음 25:14-30에 나오는 비유는 청지기직에 관한 교훈으로 해석되어 왔다: 달란트-재능, 기술, 자원-는 하나님의 나라와 관련된 것이지만, 이를 경제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에 무리가 없다고 생각을 했었다. 각 기독교인은 하나님으로부터 다른 달란트를 받았고, 그들은 그것을 땅에 묻어두기 보다는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는 달란트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혹은 사용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나중에 결산을 해야 할 것이며, 그 결과에 따라 상이나 벌을 받게 된다. 그러한 해석은 자유시장에 기반을 둔 자본주의, 노력한 만큼 얻는 것이 정의라는 신념, 그리고 자기 계발의 중요성 등의 가치가 강조되는 미국 사회에 딱 맞는 해석이다. 틀림없이 그런 사회가 이런 해석이 나오는 데 영향을 끼쳤을 것.. 2022. 7. 23.
728x90
반응형
LIST